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치매 초기증상과 가족이 알아야 할 징후

by mi-nee 2025. 4. 5.
반응형

🔹 치매 초기증상과 가족이 알아야 할 징후

치매는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합니다. 초기에 대처하면 진행을 늦추고 일상생활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그러나 많은 가족들이 “나이 들어서 그렇겠지”라고 생각하고 방심하다가, 병이 꽤 진행된 뒤에야 이상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.

오늘은 가족이 반드시 알아야 할 치매 초기증상을 정리해 드립니다.
단순한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, 주의 깊게 봐야 할 변화 징후를 사례 중심으로 알려드릴게요.

 

1. 단순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

“어디 뒀지?” “이름이 뭐더라?”
누구나 한 번쯤은 겪는 건망증. 하지만 그것이 치매 초기증상일 수 있다는 걸 아시나요?

건망증과 치매는 증상이 비슷해 보여도, 기억하는 방식과 회복력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.

구분 건망증 치매
기억 회복 힌트를 주면 기억이 남 힌트를 줘도 기억 못함
기억 범위 일부분만 잊어버림 전체 상황을 잊음
일상생활 큰 지장 없음 생활 기능 저하 발생
진행 양상 변동 있음 / 회복 가능 점점 심해짐

건망증은 보통 피로나 스트레스, 일시적 주의력 저하로 나타납니다.
반면 치매는 기억 자체가 사라지고, 기능이 점점 떨어지는 진행성 뇌질환입니다.

헷갈릴 때는 “최근 일이 자꾸 사라진다”는 식의 짧은 기억 장애가 지속되면 꼭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.

2. 대표적인 치매 초기 증상 10가지

치매는 다양한 증상으로 시작되며, 단순한 기억력 저하 외에도 언어, 판단력, 성격 변화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.

다음은 대한치매학회치매안심센터에서 제시한 대표적인 치매 초기증상 10가지입니다.

  1. 최근 일 기억이 자꾸 사라진다 – 며칠 전 약속, 오늘 먹은 식사 등을 기억 못함
  2. 익숙한 길에서 자주 헤맨다 – 자주 다니던 길을 갑자기 모른다거나 반대로 감
  3.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 – 말하다가 단어를 자꾸 잊거나 말문이 막힘
  4. 돈 계산이 어려워졌다 – 시장에서 거스름돈을 잘못 받거나, 계산 순서가 헷갈림
  5. 시간, 장소 감각이 흐려진다 – 요일, 계절, 장소에 대한 혼동
  6.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고 의심이 많아진다 – 안경, 지갑을 자주 잊고 누가 가져갔다고 의심
  7. 성격이 갑자기 예민해지고 짜증이 잦아진다 – 이전에 없던 분노, 의심, 무기력
  8. 취미 활동에 흥미를 잃는다 – 좋아하던 활동(TV, 바둑, 산책 등)을 더 이상 하지 않음
  9. 위생 상태가 나빠진다 – 세수, 양치, 옷 갈아입기 등 기본적인 자기관리 소홀
  10. 복잡한 업무 처리나 약속 관리가 어렵다 – 전화 응대, 약 복용 시간 등 놓침이 잦아짐

이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치매 초기 가능성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.
특히 평소와 성격이 달라졌다면 단순한 노화가 아닌 뇌 기능 변화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3. 가족이 놓치기 쉬운 경고 신호

치매는 천천히, 조용히 진행됩니다. 그래서 가족조차도 “요즘 좀 피곤한가?” 하고 넘기기 쉽습니다.

아래와 같은 변화는 단순한 노화가 아닌 치매 초기의 신호일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.

  • 예전보다 통화 시간이 짧아졌다 – 대화가 끊기거나, 반복적으로 같은 말만 함
  • 갑자기 전화나 방문을 피한다 – 사람 만나는 걸 피하거나 예민해짐
  • 냉장고나 찬장에 엉뚱한 물건을 넣는다 – 지갑을 냉장고에, 치약을 옷장에 넣는 등
  • 옷을 이상하게 입고 다닌다 – 계절에 맞지 않게 껴입거나 속옷 위에 겉옷 착용
  • 전기밥솥, 가스불 등을 자주 켜놓은 채 잊는다 – 안전 사고 위험 증가
  • 텔레비전 소리만 켜놓고 멍하니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 – 무기력하거나 집중이 되지 않음
  • 매일 먹던 약을 먹지 않거나, 반복 복용한다 – 약 복용 관리가 어려워짐

가장 가까운 가족일수록 변화에 무뎌지기 쉽습니다.
“예전과 뭐가 달라졌지?”를 꾸준히 관찰하고 기록해두면 조기 진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4. 의심될 때 꼭 해야 할 행동

가족 중 누군가에게 치매 초기증상이 의심된다면, “설마 아닐 거야” 하며 미루지 말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다음은 반드시 거쳐야 할 3단계 행동입니다.

① 증상 관찰 일지를 작성하세요

작은 변화도 기록해두면 전문의 진료 시 큰 도움이 됩니다.
예시: “3월 12일 – 약속 장소 착각 / 3월 17일 – 냄비 불 끄는 걸 잊음”

② 가까운 보건소 또는 치매안심센터에 문의

전국 모든 보건소에는 치매조기검진 서비스가 있으며

, 무료로 간이 인지검사(MMSE)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진료소나 병원을 가기 부담스러워하는 어르신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③ 전문의와 상담하고, 영상·혈액검사까지 진행

기억장애가 지속된다면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뇌 MRI, 혈액검사 등으로 치매 여부를 정확히 진단하고, 그에 따른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.

가까운 치매안심센터 무료검진 예약하기 👆

5. 조기 발견이 중요한 이유

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, 초기에 발견하면 진행을 늦추고 일상생활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특히 약물치료, 인지재활, 환경개선 등은 초기일수록 효과가 크며, 가족 모두가 준비할 수 있는 시간도 생깁니다.
무엇보다 치매는 조기 대응이 곧 삶의 질을 지키는 길입니다.

지금 가까운 치매안심센터 확인하기 👆

  •  

 

마지막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오늘 이 글이 여러분의 가족을 위한 조기 대응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💕

반응형